'B형 간염'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06.25 B형 간염에 의한 질환 치료 관리에 대해 알아보기
반응형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신고범위 : 환자(급성 B형 간염 환자, 만성 B형 간염 환자-산모 또는 주산기 감염자에 한함), 병원체보유자(산모 또는 주산기 감염자에 한함)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① 급성 B형 간염 환자 : 급성 B형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방법 등에 의해 해당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자

- HBsAg이 음성이고 IgM anti-HBc가 양성인 자

- HBsAg이 양성이고 IgM anti-HBc가 양성인 자(다만 6개월 전에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을 진단받았던 자는 제외함)


② 만성 B형 간염 환자 : 산모 또는 주산기 감염자에 한함

- 산모 만성 B형 간염 환자 : 만성 B형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 (간기능 검사상 이상소견 등)을 나타내면서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인 산모

- 주산기 만성 B형 간염 환자 : 주산기에 어머니로부터 감염되어 만성 B형 간염에 합당한 임상적 특징(간기능 검사상 이상소견 등)을 나타내면서 HBsAg이 6개월 이상 양성인 24개월 이내의 영/유아







병원체보유자 : 산모 또는 주산기 감염자에 한함

- 임상소견(간기능 검사상 이상소견 등)은 없으나 HBsAg이 양성인 자. 다만 주산기 감염자인 경우에는 24개월 이내의 영/유아에 한함

신고방법 : 별지 제1호 서식(부록2-1)을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및 웹(http://is.cdc.go.kr) 등의 방법으로 신고


Ⅰ. 역학적 특성


1. 세계현황


현재 세계인구 중 20억명이 감염되어 있고, 3억5천만명이 간경화증과 간암을 앓고 있으며, 매년 약 50~70만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아시아, 아프리카, 태평양 도서지역, 중동지방, 아마존 유역과 같이 B형 간염표면항원 양성 인구가 8% 이상인 유행지역에서 출산시 수직감염 되거나 소아기 수평감염을 통해 주로 감염 됩니다.




2. 국내현황


B형 간염표면항원 양성률은 1980년대에는 8% 수준이었으나 백신접종 확대 후 감소하여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0세이상 인구 중 남자 4.4%, 여자 3.0%이며, 연령별 항원양성률은 10대(1.3%), 20대(3.9%), 30대(4.5%), 40대(4.2%), 50대(5.8%), 60대(3.4%)입니다.




3. 전파경로


B형 간염은 감염된 혈액에 노출되거나, 감염된 사람과의 성접촉으로 전파되며, 특히 출산 도중에 모체로부터 감염되는데 자연분만과 제왕절개 모두에서 가능합니다.


4. 고위험군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 받아야 되는 환자,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주사용 약물 중독자, 의료기관 종사자,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 등이 B형 간염 고위험군입니다.


Ⅱ. 임상적 소견




1. 잠복기


감염 후 60일~150일로 평균 4주의 잠복기 후 임상증상이 나타납니다.


2. 임상증상


급성 B형 간염

급성증상으로 황달/흑색 소변/식욕부진/오심/근육통/심한 피로/우상복부 압통 등이 나타나나 무증상 감염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임상증상 및 생화학적 이상은 회복되나, 경우에 따라 일부 전격성 간염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생화학적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고 B형 간염표면항원 양성을 보이는 경우 만성간염으로 이행합니다.



만성 B형 간염

무증상에서부터 피로감, 전신권태, 지속적인 또는 간헐적인 황달, 식욕부진 등 만성 쇠약성 증상과 말기 간부전까지 다양합니다.


정맥류 출혈, 간성 혼수, 혈액응고장애, 비장비대, 복수 증상을 유발하는 간경화증과 간암 등의 합병증이 있습니다.


Ⅲ. 진단검사의학 소견


진단 방법은 위의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생화학적 검사 결과로는 혈청 간효소 수치 및 혈청 빌리루빈 증가가 있습니다.





Ⅳ. 치료


1. 급성간염


성인이 B형 간염에 걸린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도 대부분 저절로 회복되나,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회복이 빨라질 수 있습니다.


2. 만성간염


만성 B형 간염으로 진행된 사람에게 간손상을 줄이고 간경변증과 간암을 예방하기 위해 인터페론주사제와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치료 전 치료의 적응증 및 유전형 확인, 적절한 약제의 선택, 부작용, 내성발생, 비용 등에 대해 주치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친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Ⅴ. 예방


[예방접종]


접종시기 : 영아는 생후 0, 1, 6개월 일정, 소아 및 성인은 0, 1, 6개월 일정

접종용량 : 10세 이하는 0.5mL, 11세 이상은 1.0mL

접종방법 : 영아는 대퇴부 전외측, 연장아나 성인은 삼각근에 근육주사

접종대상 : 모든 영유아 및 B형 간염 고위험군

-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의 가족

- 혈액제제를 자주 수혈 받아야 하는 환자

-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 주사용 약물 중독자

- 의료기관 종사자, 수용시설의 수용자 및 근무자

- 성매개질환의 노출 위험이 큰 집단

Ⅵ. 환자 및 접촉자관리


1. 급성 B 형 간염 환자관리


B형 간염의 전염 경로는 혈액, 정액, 타액(침)입니다.


B형 간염표면항원이 소실되고 B형 간염표면항원에 대한 항체가 나타날 때까지 혈액 및 체액을 격리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혈액과 체액에 오염된 장비를 소독해야 합니다.


2. B 형 간염 건강 보균자 관리


혈액검사상 B형간염 바이러스(항원)는 양성이나 간기능검사(AST, ALT등)상 정상인 상태를 말하며, B형간염 바이러스가 몸 안에 있으나 간에 염증을 일으키지는 않는 상태입니다.


출생 시나 신생아 때 감염된 경우의 90-100%에서, 소년기 때 감염된 경우는 20-30%에서, 성인에서 감염된 경우는 5-10%에서 보균자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직까지 B형간염 바이러스를 몸에서 없앨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으나, 다음과 같이 조심해야 합니다.


간염보균자 중 일부는 만성 간염으로 이행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진찰 및 간기능 검사를 6개월에 1회 정도로 실시하여 만성 간염으로의 진행을 미리 조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간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약물이나 음주는 피해야 합니다.


3. 접촉자관리


[B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 시 조치방법]




[어머니가 HBsAg 양성인 경우]


출생 후 12시간 이내에 신생아에게 면역글로불린과 B형 간염 백신을 각각 다른 부위에 근육주사하고, 나머지 2회 예방접종은 스케줄대로 실시합니다. 토한 생후 9-15개월에 항체검사를 실시하여 항체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재접종을 실시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삶의길